융복합 농업기술 보급혁식으로 디지털 농업ㆍ창조농업이 해남 농촌과 함께합니다.
홈 > 농업경영정보 > 주간농사정보 인쇄

주간농사정보

주간농사정보(11. 11 ~ 11. 17)

  • 작성자 최영경
  • 작성일 2012-11-16

주 간 농 사 정 보


◈ 알기쉬운 농업용어

  01. 지제부분(地際部分) ⇒ 땅닿는 부분
  02. 복토(覆土) ⇒ 흙덮기
  03. 도포제(塗布劑) ⇒ 바르는 약
  04. 미질(米質) ⇒ 쌀의 품질
  05. 피복(被覆) ⇒ 덮개, 덮기
  06. 동해(凍害) ⇒ 언 피해
  07. 객토(客土) ⇒ 새흙넣기
  08. 촉성재배 ⇒ 철당겨 가꾸기
  09. 억제재배 ⇒ 늦추어 가꾸기
  10. 구근(球根) ⇒ 알뿌리
  11. 정선(精選) ⇒ 잘고르기
  12. 숙기(熟期) ⇒ 익은 때
  13. 결구(結球) ⇒ 알들이
  14. 경운 ⇒ 흙갈이(논이나 밭을 감)
  15. 휴립(畦立) ⇒ 이랑 만들기
  16. 정식(定植) ⇒ 아주심기
  17. 활착(活着) ⇒ 뿌리내림
  18. 보파(補播) ⇒ 덧뿌림
  19. 수피(樹皮) ⇒ 나무껍질
  20. 착과(着果) ⇒ 열매달림
  21. 엽면살포(葉面撒布)⇒잎에 뿌리기
  22. 만생종(晩生種) ⇒ 늦게 수확하는 종류
  23. 육추(育雛) ⇒ 병아리 기르기
  24. 착유(搾乳) ⇒ 젖짜기
  25. 웅돈(雄豚) ⇒ 수퇘지
  26. 부숙(腐熟) ⇒ 썪힘
  27. 곤포(梱包) ⇒ 압축포장재
  28. 사일로(Silo) ⇒ 사료저장장


◈ 주간동향
 1. 기상전망(11월 중순 ~ 12월 상순, 기상청, 농과원)
□ 날씨 전망
  ❍ (11월 중순)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는 가운데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여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음
  ❍ (11월 하순) 기압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날씨의 변화가 잦겠음
  ❍ (12월 상순)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추운 날씨를 보일 때가 많겠음

□ 순별 예보
         구분                         평 균 기 온                              강 수 량
     11월 중순           평년(4~11℃)과 비슷하겠음           평년(9~30㎜)과 비슷하겠음
     11월 하순           평년(2~10℃)과 비슷하겠음           평년(9~23㎜)과 비슷하겠음
     12월 상순           평년(-1~7℃)보다 낮겠음           평년(7~19㎜)보다 적겠음


◈ 벼 농 사
 1. 벼농사 마무리
  ❍ 내년에 사용할 볍씨는 지역의 장려품종 중에서 내 논에 알맞고 밥맛이 좋은 고품질 품종으로 확보

 2. 땅심 높이기
  ❍ 땅심이 낮은 논은 그 논의 특성에 알맞도록 객토, 유기물 및 토양개량제, 깊이갈이, 배수개선 등 토양을 종합적으로 개량하고 관리하여 고품질 쌀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함
  ❍ 볏짚은 절단기를 이용하여 3∼4등분으로 잘게 잘라 논에 되돌려 주고 깊이갈이를 해 줌
  ❍ 규산은 벼가 필요로 하는 양분 중에 가장 많이 흡수하는 중요한 양분으로 잎과 줄기를 튼튼하게 하여 잘 쓰러지지 않고, 병해충이나 냉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공급된 규산질비료는 논갈이 전에 뿌려주어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시키도록 함


◈ 밭 작 물
 1. 보리·밀밭 관리
  ❍ 늦게 파종한 보리·밀은 겨울을 나는 동안에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해지게 되므로 마른 볏짚 300㎏/10a 정도를 5~10cm 길이로 잘라서 덮어주면 보온, 보습, 잡초발생 억제 등의 효과가 있음
  ❍ 보리 밀은 습해에 약한 작물이므로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하여 서릿발 피해 및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함


◈ 채  소
 1 가을 배추·무
  ❍ 수확기가 된 가을 배추․무는 기온이 내려가기 전에 서둘러 수확
  ❍ 동해피해를 받는 온도는 가을배추는 영하8℃ 정도이나, 갑자기 온도가 낮아지면 영하3℃에서도 피해가 나타나며, 가을무는 0℃에서 동해피해를 받음
  ❍ 갑자기 추워질 경우 신속히 보온을 해 줄 수 있도록 부직포나 비닐 등을 포장주위에 준비
  ❍ 한번 얼었던 배추는 바로 수확하지 말고 그대로 밭에 두어 기온상승을 기다려 회복된 후에 수확 함
  ❍ 가을배추는 동해예방과 알들이(결구)기 잘 되도록 묶어주기를 함
  ❍ 가을무는 0℃이하로 떨어지면 동해피해를 받으므로 부직포를 덮어 보온을 하거나 빨리 수확
  ❍ 저장이 잘되는 가을무 품종은 뿌리가 깨끗하고 너무크지 않은 것만 골라서 저장하고, 땅속 깊이 묻거나 움을 만들어 저장하면 다음해 2~3월까지 얼지 않고 안전하게 간이 저장할 수 있음

 2. 시설 채소
  ❍ 낮에는 환기를 알맞게 실시하여 과습과 고온장해를 예방하도록 함
  ❍ 하우스에 육묘나 재배 중인 고추, 오이, 토마토 등 과채류 및 화훼류는 밤 온도를 12℃ 이상, 상추 등 엽채류는 8℃ 이상 유지되도록 가온과 보온 관리를 잘 하여 저온장해를 받지 않도록 함
  ❍ 시설원예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하우스 피복자재 개선 등으로 보온력을 높이도록 하고, 난방 에너지를 절약을 위한 장치를 설치


◈ 과  수
 1. 과실 수확 및 과원관리
  ❍ 수확을 하지 않은 과실은 서둘러 수확하도록 하고, 기온이 갑자기 내려가 과실이 얼었을 경우에는 바로 수확하지 말고 온도가 올라가 과실이 해동이 된 다음 수확하여 바로 출하하도록 함
  ❍ 물 빠짐이 불량한 과원은 배수 시설을 보완토록 하고, 잎이 일찍 떨어져 양분 축적이 적은 과수원은 퇴비 등 유기물 주는 양을 기준보다 늘려 주도록 함
  ❍ 병든 잎에서 병원균이 월동을 하게 되므로 낙엽은 긁어모아 불에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어 주도록 함
  ❍ 잎이 일찍 떨어진 과수원은 꽃눈 발달이 불량하여 내년도 꽃이 피는 상태가 불량할 우려가 있으므로 머리뿔가위벌 사육 등 내년도 수정률 향상 대책을 세우도록 함
  ❍ 조류 피해방지를 위해 씌웠던 방조망은 눈에 의한 적설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과실 수확 후 걷었다가 이듬해 봄에 다시 씌우도록 함

 2. 과수 월동대책
  ❍ 어린 나무는 짚으로 원줄기를 싸맨 다음 땅닿는 부분(지제부위)을 흙으로 덮고(복토), 추위에 약한 포도나무는 땅에 묻거나 싸매 주며, 복숭아, 감 등도 주간부를 짚으로 싸매주거나 백도제, 수성페인트 등을 발라주는 등 동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 화  훼
  ❍ 분화류의 월동을 위해서는 벤자민고무나무 등 열대 관엽류는 실내에 들여놓고 해송, 향나무 등 분재류는 베란다에 놓거나 땅에 심어서 겨울을 나도록 함
  ❍ 겨울철 출하를 목표로 재배 중인 포인세티아, 구근베고니아, 칼랑코에 등은 하우스 보온관리 및 병해충 방제에 주력
  ❍ 거베라는 겨울의 꽃 수확량을 늘릴 수 있도록 지온을 18∼20℃ 정도가 유지되도록 관리
  ❍ 특히 겨울철에 거베라 하우스의 합리적 경영을 위해서는 밤 온도를 11∼13℃, 낮 온도를 14∼17℃로 유지하여 연료비를 절약하도록 하고, 품질이 좋은 꽃을 생산토록 함


◈ 특용작물
  ❍ 겨울철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농가는 버섯재배사의 살균 소독을 철저히 하고, 솜이나 볏짚 등 배지의 수분을 65% 내외로 조절하여 65∼70℃에서 8시간 살균작업을 실시하도록 함
  ❍ 잡균 발생 예방과 버섯균의 활력을 높이기 위하여 50∼55℃에서 2∼3일간 후 발효를 시키고, 온도를 내려 배지의 온도가 25℃ 내외가 되면 3.3㎡당 8∼10병의 종균을 접종하도록 함
  ❍ 약초 가공시설이 있는 지역에서는 수확하거나 수집한 약초를 세척·절단·건조·가공·포장의 단계로 작업을 하도록 하고, 충분한 가공물량을 확보하여 연중 작업 일수를 늘리도록 함


◈ 축  산
【구제역․AI 특별방역기간 : ‘12.10.4~13.5.31(8개월간)】
  ❍ 금년 겨울 및 내년 봄은 구제역 청정화를 회복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기
  ❍ AI는 철새 도래시기(10월 전후 개시)와 연관하여 방역활동 강화
   * 방역상황실 설치 운영 : 농림수산식품부, 농진청, 지자체, 방역본부, 축종별 관련 단체 등

 1.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
  ❍ 축사 안팎과 기구는 주 1회 이상 소독을 실시하고, 작업화와 작업복은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해야 함
  ❍ 농장의 차단방역시설을 확인하고 야생동물들이 농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울타리와 출입문을 점검
  ❍ 농장주와 농장 내 근무자가 외출 후 축사에 들어갈 때에는 샤워 후 농장 내 전용 옷과 신발로 교체하여 착용하고 출입해야 함
  ❍ 농장을 출입하는 모든 차량과 사람에 대해서는 반드시 소독 및 기록을 실시하고 출입자 대장을 비치
  ❍ 소독제의 특성(염소, 요오드, 알데하이드 류 등)에 따라 효과가 다르므로 반드시 사용설명서에 따라서 농장 내․외부를 소독
  ❍ 차량을 소독할 경우에는 바퀴, 차체, 운전석 등을 전체적으로 소독하고, 운전자에 대해서도 반드시 소독 조치를 하여야 함
  ❍ 축산관계자는 가축전염병 발생국가로 출국하거나 가축전염병 발생 국가를 체류․경유하여 입국할 때에는 공항 또는 항구에 주재하는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에 신고하여 소독조치를 받아야 함
   * 가축전염병(FMD․HPAI) 발생 국가는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발생 국가를 여행할 경우에는 축산농가, 가축시장 등을 방문하지 말고 귀국한 후에는 5일간 가축 사육 시설 출입을 삼가야 함


[ 예방접종시 주의사항 ]
  ❍ 백신은 반드시 얼지 않도록 2~8℃ 냉장보관
   - 특히, 겨울철에는 상온에서 2~3시간 놔둔 후 적정온도(22∼23℃)로 접종
  ❍ 한번 개봉한 백신은 36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함
  ❍ 1두 1침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주사부위가 곪지 않도록 주의
  ❍ 축종별 적정용량 접종 및 적정크기 주사바늘 사용


[ 신고요령 ]
  ❍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감염 의심증상 발견 즉시 1588-4060/9060으로 신고

 2. 가축 사양관리
  ❍ 소를 우사 안에서 관리함에 따라 운동량이 줄어들고 일조량이 감소하면서 발정 지속시간이 짧아지는 등 수태율이 떨어지므로 햇빛이 나는 낮 시간에 수시로 운동과 일광욕을 시키고, 발정 예정일을 미리 잡아 우유짜기 전후에 30분 정도씩 지속적인 관찰하여 적기에 수정을 시킬 수 있도록 함
  ❍ 돈사 내 온도관리에 치중하다 보면 환기에 소홀해지기 쉽고, 추위를 감안하여 한 돼지우리에 너무 많은 돼지를 넣으면 피부병, 꼬리 물기 등이 발생하게 되며, 호흡기를 비롯한 질병 발생이 증가하게 되므로 환기를 적절히 해주고, 분뇨처리를 자주 해 주도록 함
  ❍ 건조한 시기에 닭을 사육할 때에는 습도가 부족하여 탈수증이 생길 수 있고, 호흡기 점막도 건조해져 세균이 침입하기 좋은 조건이 됨에 따라 호흡기 질병으로 전환될 염려가 있으므로 적당한 습도유지를 위한 관리를 하도록 함

 3. 가축 위생관리
  ❍ 어린 송아지는 기온이 떨어지면 설사 및 호흡기질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송아지 우리에 마른 깔짚 깔아주기 등 보온에 주의하고, 축사 내의 환기가 잘 되도록 함
  ❍ 돼지콜레라의 방지를 위하여 예방접종시기를 잊지 않도록 하고, 유행성설사 및 전염성위장염 등의 설사병에 대해서도 적기에 예방접종을 실시
  ❍ 닭은 기온저하에 따른 각종 질병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온과 환기관리로 환경을 청결하게 해 주고, 철저한 차단방역, 소독 및 예방접종 등의 방역관리 실시

 4. 사료작물 관리
  ❍ 초지를 조성할 때 석회를 충분히 뿌리지 못한 농가에서는 목초의 생육이 정지하는 시기에 뿌려줄 수 있도록 준비
  ❍ 초지와 논뒷그루 사료작물 포장은 월동 전에 진압을 해 주고, 배수구를 잘 정비하여 동해나 습해를 받지 않게 함
  ❍ 담근 먹이를 사일로에서 미리 꺼내어 쌓아 두게 되면 얼거나 변질되기 쉬우므로 하루 급여량만 꺼내어 잘 보관해 두고 급여하도록 함

첨부파일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해남군 QR코드

담당자
갱신일자
202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