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이용안내 바로가기



이진성지
사진크게보기

이진성지

  • 위치 : 전남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 1227
  • 문의
    문화관광과 문화재 담당 : 061-530-5856  / 관광안내 : 061-532-1330
찾아오시는 길
빠른길찾기
소개
전남 해남군 북평군 이진리 해안에 돌로 쌓은 성이다. 선조 21년(1588)에 군대의 진을 세우고 인조 5년(1627)에 만호진으로 승격되었는데 이 당시에 쌓은 것으로 보인다.

『여지도서』의 기록에 보면 군 남쪽 120리에 있고 성은 돌로 쌓은 석성으로, 둘레는 1,470척, 높이 8자이며 샘이 2개있다고 전한다. 『문화유적총람』에는 둘레 2.5㎞의 성지로 인조 26년(1648)에 만호(각 진에 배치한 종4품의 무관직)를 두어 성을 세웠고, 성 주위로 바다 호수를 만들어 왜군이 침입하지 못하게 하였다고 한다. 또 이진은 제주도 출입 통제소이기도 하였으며, 제주도의 말을 수송하는 곳이었으며, 마을 안에 수군만호비가 4기가 있다고 전한다.

성은 남·북의 구릉지를 이용하여 타원형 형태로 지었으며, 지금 마을 통로로 이용되는 곳에 동문과 서문의 터가 있고 남문터는 민가에 남아있다. 성 주위에는 백자조각과 각종 유물이 발견되고 있으며, 4기의 만호비는 이진초등학교 입구에 있다.
이진성을 쌓은 연대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현재도 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가치가 높다. 주변의 달마산봉수나 달도선소, 이진마을의 민가와 관련하여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진리 해안에 위치한 석축성이다. 이진성은 정유재란 후인 선조 21년(1598)에 설진하여 인조 5년(1627) 만호진으로 승격하여 이 당시 쌓은 것으로 보여진다.
영암군에 속한 진성으로 고종 32년(1895) 폐진되었는데 『여지도서』에는 "군 남쪽 120리에 있고 성은 석축이다. 둘레는 1470척(尺), 높이 8자, 치첩 334개소, 샘이 2개있다."이라 기록하고 종 4품의 수군만호 밑에 군관 17명, 리 18명, 지인 5명, 사령 37명이 배치되어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해남읍지』에 의하면 전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2척과 대변군관 12명, 진리 18명, 사령 6명, 군뢰 2명, 방군 271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문화유적총람』에는 "둘레 2.5km의 성지로 인조 26년(1648)에 이진수군만호를 두어 성을 축조하였고, 성주위로 바다 호수를 만들어 왜군이 침노하지 못하게 하였다 한다. 또 이진은 제주도 출입통제소 이기도 하였으며 제주도 군마와 사마를 수송하는 곳이기도 하였다하며, 마을안에 수군만호비 4기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한편 성의 축조방법과 현황을 보면 남·북의 구릉지를 이용 축성한 남북장축의 타원형 진성으로 성벽은 내탁법에 의해 쌓았다. 성내에는 이진마을이 소재하는데 마을 통로로 이용되고 있는 부분이 동문과 서문터다. 너비 3m의 서문터에는 둘레 34m, 높이 5m, 너비 2.2m의 웅성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 외에도 지금은 파괴되었으나 남문터에는 이진리 김호준씨댁 대문 앞에 지름 10㎝, 장재윤씨댁에 보관중인 지름 18㎝의 홈이 패인 초석이 남아 있다. 현재 남아있는 성벽은 총연장 940m이다. 동벽은 길이 350m, 아래쪽 너비 390㎝, 윗쪽 너비 130㎝, 높이 200∼270㎝, 서벽은 길이 280m, 아래쪽 너비 6m, 윗쪽 너비 4m, 높이 430㎝로 거의 무너져 있다. 성벽 주위에는 백자편과 각종 유물 등이 수습된다. 그리고 만호비 4기는 현재 이진초등학교 입구에 있다.
이 이진성은 설성시대는 부정확하나 현재도 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그 상태상으로 보아 남도진성이나 낙안읍성에 비해 손색이 없고 주변의 달마산 봉수와 달도 선소, 이진마을의 민가와 관련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사진갤러리
  • 1.jpg
  • 대표.jpg
  • 이진진성.jpg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이전

다음

목록보기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해남군 QR코드
담당자
  • 문예관광팀 진정연 ☎ 061-530-5061-530
갱신일자
2018-05-03
공공누리 마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