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이용안내 바로가기



소개
겨울 겨울에는 납일, 섣달그믐, 설점, 설날, 정월보름, 하리아드렛날, 영등, 한식, 경칩, 윤달풍속 등의 세시풍속이 있다.
납일
12월은 일반적으로 '섣달'이라고 한다. 이 섣달에는 납일이 있다. 동지 후 제 3일을 납일이라 하는데 이날 궁중에서는 사냥을 하여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해남에서는 간혹 이 날에 지금도 돼지고기 등의 고기를 먹는 가정이 있다. 한땐 옛날부터 납일에 눈(雪) 물을 받아 저장하는 습속이 있었다고 전해 온다. 이 납설수는 모든 병을 다스리는 약이 된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눈물을 병에 담아 잘 간직해 두었다가 여름에 더위 들었을 때 마시면 특효약이 된다고 믿었다.
섣달그뭄
섣달 그믐날 밤을 '제석' 또는 '제야'라고 한다. 이 날은 설을 쇠기 위해 집안을 깨끗이 하고, 수세를 한다고 하여 날을 밝히며, 온 집안에 불을 환히 밝혀 놓는다. 섣달 그믐에 하는 일로는 이 날이면 누구나 목욕을 하고 집안도 깨끗이 한다. 명절 전에 집안을 청결히 하면 병을 막고 다가오는 신년의 행운도 더욱 성해진다고 해서 누구나 집을 깨끗이 하려 하는 것이다.
연말이 다가오면 가정에서는 설을 쇠기 위해 세찬을 마련한다. 아울러서 부모나 마을 어른, 일가친척들에게 여러 가지의 선물, 즉 고기나 술, 담배 등을 보낸다. 객지에 있는 자손들은 설을 쇠기 위해 부모가 있는 고향을 찾아 연말 며칠 전부터 귀성한다. 예전과는 달리 신정에 밀려 귀성이 줄었으나 틈만 있으면 어느 누구나 이때 고향을 찾고 조상께 성묘하고자 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또 섣달 그믐에는 저녁내내 방마다 불을 켜 해를 지킨다고 하여 온 집안을 밝히고 논이나 밭둑에 불을 피우고 밤의 날씨를 보아 일년사를 예측한다. 논 밭둑에 불을 피우는 것은 다음의 화재수를 면하게 하기 위해서 하는 것인데 병충해를 없애기 위해서 하는 불놀이와는 다르다. 부엌의 조왕단지의 물을 갈아 가정의 평안을 기원한다.
설점
농가에서는 겨울철 강설의 량을 보고 다음해 여름철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즉 동짓달을 다음해 5월의 날씨와 상관시키고 섣달은 다음해 6월의 날씨와 상관시켜, 이때 눈이 많이 오면 여름 농사가 풍요하리라 여기며, 눈이 오지 않거나 강추위가 계속되면 반대로 흉작이 되리라고 예측하고 걱정한다. 때문에 농가에서는 겨울철 눈에 대한 관심이 크다. 특히 겨울의 눈은 그 물이 많아야 다음 해의 여름에 비가 풍족하여 농사 짓는 데 걱정이 없다고 생각한다.
한편 겨울에는 농가의 처마 밀에 고드름이 많이 얼어 붙어야 다음해 농사가 길하다고 생각하는데 그것도 고드름이 팔뚝처럼 크게 얼면 얼수록 더욱 좋다고 생각한다.
설날
음력 정월 1일은 1년의 첫날로 잡고 원일이라 한다. 원일의 아침은 '원일' 또는 '원조' 혹은 '정조'라고 한다. 해남에서는 이 날을 '설','설날','정초','설명질(절)','정월명절' 등 여러 가지로 부르고 있다.
설날 의례로는 설날 새벽 각 가정에서 다례를 지내며 조상의 은혜에 보답한다. 또 식구들의 새 옷을 장만하는 설빔, 세배와 성묘, 정초휴가 및 출가한 여인들의 근친(친정식구들에게 인사하기)을 나눈다. 설날 음식으로는 아침에 떡국을 먹고 세찬과 세주를 장만하고 설떡을 준비하는 것이 보편화되어있다.

기복
    • 덕담 : 친척이나 친구를 만나 축하하는 말 나눔
    • 안택 : 터주신 위로 안택
    • 입춘붙이기 : 입춘축 쓰는 일
농사점
    • 짐승 기동보기 : 정초 새벽 일찍 기동하는 짐승으로 일련농사를 점침
    • 일기점 : 정초 날씨를 보아 그 해 풍흉 예측
    • 보리뿌리점 : 보리를 캐어 뿌리가 셋이면 풍년, 뿌리가 둘이면 중실, 뿌리가 하나이거나 별로 없으면 농사가 흉하다고 예측.
    • 고양할미 : 하늘에서 정월 1일 내려온 고양할미가 곡식을 다 소비하지 못하면 풍년이라 예측
    • 입춘치 : 입춘날 날씨가 나쁘면 '입춘치 한다' 라고 함.
기농과 기장
    • 소방알붙이기 : 풍년을 염원하는 뜻에서 소를 밖으로 내어 땅을 갈게 함.
예방과 액막음
    • 뱀입춘 : 뱀날에 뱀이을 붙인 다음에 돌아다님
    • 뱀지지기 : 머리카락이나 솜등에 불을 붙여 연기를 피움
    • 삼재 예방의 그림 : 삼재가 든 사람은 정월에 1달이나 2일 사이에 한다.
    • 날짐승 보기 : 날짐승의 움직임을 보고 예측
정월보름
정월 15일을 '상원' 또는 '대보름'이라 하는데 설날 에 시작되었던 세수 명절의 끝이라고 할 수 있다, 상원이란 으뜸 되는 밤이란 뜻으로 래음력을 지키는 곳에서 망월을 으뜸으로 여기고 이처럼 일년 중 최초의 보름을 특히 상원이라 하여 중시하였다, 보름 행사는 15일에 시작되는 것이 아니고 14일에 시작된다. 지금은 대부분 사라져 버린 해남 지역의 세시 풍속 중 이 정월 보름을 전후해서 남아있는 습속이 가장 많다고 할 수 있다.
시식으로는 오곡밥, 찐밥, 보름나물이 있고 기농으로는 보름의 진설, 까치 밥주기, 상원반 아홉 그릇, 잰부닥불, 해우쌈 노적, 새쫓기, 유지지 세우기, 정월망기가 있다. 기농을 위한 금속으로는 콩팥 안다루기, 남의 집에 가서 물 안먹기, 샘물 안 긷기, 일을 안 하는 날이 있었다.기신과 몸의 부스럼 등 병 예방을 위해서 걸판거두기, 개에게 더위밥 주기, 개에게 일부러 밥 안주기, 김밥 우물에 빠뜨리기, 무와 사탕 먹기, 참기름 아이머리에 문질러 주기, 재수보기 위해 모닥불 뛰어넘기, 잠안자기, 더위팔기, 귀밝이 술 먹기, 새옷 해 입기, 용왕공 드리기, 시냇물에 용왕밥 주기, 집 입구 황토흙 놓기, 텃밥 주기, 액막이 연 날리기, 징굿하기 등이 있었다. 신수점을 보기도 했는데, 정월보름 전날 시루를 해서 성주께 올리기, 실에 불을 피어 실 점치기, 달 밑에서 자기 그림자 보고 신수점 치기를 했다. 기신을 위한 금속으로는 보름날을 꼭 쉬었다.
병해충 예방으로 모깃불 피워 연기 내기, 모기 팔기, 문앞 등에 소금뿌려 개미, 귀뚜라미 절이기, 노래기 부적 붙이기, 지붕위로 노래기 밥주기, 여름에 뱀이 나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종이에 적제자, 백룡, 흑룡 등의 글자 써서 집기둥이나 별 등에 거꾸로 붙이기, 막대기에 머리카락,솜 등을 묶어 연기피우기, 진대끗기를 행하였다.
기복을 위해서 해이쌈, 보름 불 밝히기, 실공 드리기, 도굿대 마당 찧기, 샘물대기, 망월에 절하기, 달집태우기 복조리 걸기를 했다. 기복하기 위한 금속으로는 쌀을 내어주는 것을 삼가했다. 풍어 비는 것으로 갯벌 훔치기, 바닷가에 진설하고 제를 지내며 바다에 헌식을 했다. 정월보름 당산제는 마을 공동제를 말하는데 단결과 협동을 위해 많은 마을들이 마을 제사를 지내고 있다. 보름에 보는 풍어점으로는 도깨비 불 보기가 있었다. 보름 놀이에는 연띄우기, 연싸움하기, 용잡이 놀이, 진법군고 놀이, 횃불놀이, 다리 밝기 등을 즐겼다.
하리아드렛날
2월 1일을 '하리아드렛날', '하래드리날', '하릿날', '하루달' 등으로 부르고 있다. 옛날에 비해 이 풍속도 이미 대부분 사라져 가고 있다. 이 날의 풍습에는 옷치레와 휴식, 설반(設飯)과 시식(時食), 풍농(豊農)•풍어(豊漁)가 있다.

 옷치레와 휴식 : 하리아드렛날은 설이나 8월 추석 때처럼 명절 옷을 일부러 장만해서 입지는 않지만, 이 날을 명일로 여기고 평소에 입던 옷을 깨끗하게 해서 입었다. 그리고 이날을 마지막 노는 날이라 하여 일손을 놓고 쉬면서 걸궁 또는 줄다리기 등을 했다.

 설반과 시식 : 일반적으로 이 날은 콩을 볶아 먹거나 칡을 캐먹고 떡이나 잡곡밥을 해 먹었다. 그 밖에 성주께 밥과 떡을 올리는데 이때 장만한 음식을 부뚱, 산강, 마루 등에 차려 놓기도 했다. 잡곡밥은 각 가정마다 각종의 잡곡을 거두어 이날 마을 공동 일을 하면서 해먹는다. 이때 잡곡 12가지를 섞어 밥을 해먹으면 아주 좋다고 여겼다. 그리고 이 날에 김치를 먹으면 물 쐬기에 손을 쐰다고 해서 김치를 먹지 않는 반면에 이날 산에 가서 칡을 캐다가 먹는데 이 날 먹는 칡은 몸에 좋고 약이 된다고 믿었다.

 풍농•풍어를 위한 풍습 : 풍농 및 풍어를 위한 풍습에는 좀볶으기와 조수(潮水)점이 있다.
   - 좀볶으기 : 2월 하리아드렛날에는 또 농사의 해충 예방법으로 좀 볶으기를 한다. 좀 볶기는 주로 굼벵이•똘보라지•빈대•벼룩•노래기 등의 벌레를 없애고, 곡식 열매에 좀먹지 않게 하기 위한 일이라하여 여자들은 곡식의 씨앗을 볶는다. 이때 볶은 씨앗은 농사진 씨앗 전부를 볶는데, 깨진 그릇에 담고 볶았다. 대개 '굼벙이 볶으자, 똘보라지 볶으자, 좀볶으자'하는 소리를 내며 볶음질을 한다. 이때 곡식의 씨앗중 어떤 것이 먼저 볶여 뛰는가를 살펴보아 먼저 뛰며 잘볶아지는 씨앗의 곡식이 그해 가장 잘 된다고 여겼다.한편 볶으기를 할 때 '손끄스럼 볶으자'는 기원을 하기도 하는데 이는 여자들이 여름 농사일을 할 때, 손에 거스러미가 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해서였다. 볶은 씨앗은 애들이 먹거나 시렁에 차려 놓기도 하고 농•뒤주 속이나 혹은 볏짚단 속에 넣어 두기도 한다. 그리고 여름 모심을 때 끄집어내어 먹었다. 또는 이 볶은 씨앗을 논밭에 가서 묻기도 했는데 이때 '재석님네 올해 농사에 벌레귀신없이 잘되게 해주십시오'하고 빌었다.
  - 조수점 : 어촌에서는 지난 해의 섣달 그믐날 조수의 간만을 보아 두었다가 다시 2월 1일의 조수 간만의 차이와 비교해서 일년 사를 점쳤다. 즉 2월 1일의 조수가 지난 해의 그믐 때와 비슷하거나 더 불으면 그 해의 시절이 좋다고 여기지만, 그렇지 않으면 흉하게 여기었다.
영등
2월 1일은, 영등할매가 하늘에서 내린다는 날이다. 이날 바람이 불면 '바람영등', 하늘이 맑아 햇볕이 쬐면 '불영등',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면 '물영등'이 내린다고 하며, 바람영등이 내리면 그해 바람이 많고 물영등이 내리면 가물고, 물영등이 내려야 비가 흔하여 풍년이 든다고 여겼다. 이 영동할매는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데, 그래서 2월을 일명 '영등달'이라고 하기도 하며 여기에 대한 여러 가지 습속이 전해 온다.
2월 1일, 예전에는 영등이 내린다고 하여 성주께 음식을 차리고 부엌살강에 댓가지를 꽂고 곡식 볶은 것과 장만한 음식 또는 시루 등을 차리고 가정의 부인들은 치성을 드렸다. 특히 영등할매가 오를 때에 가장 정성을 들여 음식을 차려 놓고 빌었다.
대표적인 습속으로는 영등할매가 내린다는 초하루에 부정한 사람이 오는 것을 금하기 위해 황토를 파다가 집 입구에 뿌리고 대막대에 색 헝겊을 묶어 집 입구에 꽂았었다. 한편 영등할매가 마지막 올라갈 때 까지 흙을 다루거나 창문을 바르지 않으며 그밖에 고운 색이 있는 것을 만지면 눈이 아프다고 하여 옷감 다루는 일까지도 삼가했다
한식
한식은 동지후 105일째 되는 날로 3월이 되기도 하나 태개는 2월에 든다. 한식날 비가 내리면 '물 한식'이라 하여 그해 풍년이 든다고 점치기도 했다. 이날 비가 내리는 것은 중국 개자유의 넋을 위로하는 일이라고 하며 이 때문에 한식날 일부러 찬밥을 마련해 먹는 가정도 있다. 이날은 선산에 성묘를 하고, 보름 10월에 지내는 시제를 이날 하기도 한다. 자손들은 선산에 가서 성묘하고 자손들의 복을 빌고자 허물어진 조상의 묘를 손질하고 때를 입히고 개사초를 했다. 또한 이날은 나무가 잘 산다고 여겨 선산이나 집에 나무를 심기도 했다. 그러나 3월에 한식이 들면 '불 한식'이라 하여 절대로 이장이나 사초등 산의 흙 다루는 일을 삼가 했다.
한식날에는 질병을 막고 풍어를 기원하는 습속도 전해 온다. 한식날 콩 볶음을 해서 애들을 먹이고, 해수병에 좋다고 하는 진달래꽃을 따서 술을 마련하는 습속은 병 예방을 위한 한식 날의 습속이다. 한편 어촌에서 베를 가지고 있는 집은 한식날 성주께 밥을 차려놓고, 그해의 어장이 잘되기를 기원했다.
교통 안내
경칩은 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봄에 놀라 잠을 깬다는 24절기의 하나이다. 지금은 사라진 풍속이나 예전에는 남자들이 이날 소주를 가지고 산이나 들에 가서 개구리 알을 주워 먹었다. 이날 먹는 개구리 알은 허리 아픈 사람에게 약이 된다고 믿었는데, 해수병이나 양기를 돕는데도 특효가 있다고 한다.
사진갤러리
  • 겨울 세시풍속.bmp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이전

다음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해남군 QR코드
담당자
  • 문예관광팀 진정연 ☎ 061-530-5061-530
갱신일자
2018-05-03
공공누리 마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